화학식량
원자량 질량수가 12인 $^{12}C$원자의 질량을 12로 정하고, 이를 기준으로 나타낸 원자들의 상대적 질량 (단위X)
분자량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원자량의 총합 — 상대적 질량 (단위X)
몰 (mole)
1 mol = $6.02\times 12^{23}$개 = $N_A$ = 아보가드로 수
물질 종류 관계 없이 1몰에는 $6.02\times 12^{23}$개의 입자가 들어있음
1 mol의 질량 = 화학식량+'g'
e.g. $^{12}C$: 1몰의 질량 12
아보가드로 법칙
기체의 밀도∝분자량
같은 온도와 압력에서,
같은 부피의 기체 속에는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같은 수의 분자가 들어있음
0℃, 1atm (표준 상태)에서 All 기체 1몰의 부피: 22.4L
mol = 입자수/$N_{A}$ = 질량/화학식량 = 부피/22.4L (0℃, 1atm 기준)
같은 온도와 압력에서,
mol∝기체의 부피
0℃, 1atm (표준 상태)에서,
분자량 = 기체의 밀도(g/L) * 22.4 (L/mol)
추가 공식
질량 = mol × 화학식량
같은 온도, 같은 압력, 같은 부피 기체 A,B에 대해,
A 질량/B 질량 = A 분자량/B 분자량 = A 밀도/B 밀도
같은 부피의 기체의 질량 비는 분자 1개의 질량비와 같고, 분자 1개의 질량비는 분자량 비와 같다.
Posted with ❤️ by Scian
반응형
'🏫 Study > Chemist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합과학 ~ 화학I 용어 정리 (0) | 2022.04.16 |
---|---|
몰과 질량, 부피 등의 관계에서 사용되는 표현 (2) | 2022.02.02 |
[스크랩] 농도계산 / 환산 공식 (0) | 2022.01.29 |
산과 염기 (0) | 2021.08.20 |
산과 염기 지시약 색 정리 (0) | 2021.08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