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정삼각형 높이 & 넓이 공식
정삼각형 높이 공식 한 변의 길이를 a로 두었을 때, $h=\frac{\sqrt{3}}{2}a$ 정삼각형 넓이 공식 $S= \frac{\sqrt{3}}{4}a^2$
- 🏫 Study/Math
- · 2021. 9. 12.
본 포스팅은 미래엔 중학교 역사2 교과서(정선영 외)를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. 히로시마&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▶ 일본 제2차 세계대전 패배 ▶ 우리나라 광복 (1945. 8. 15.) 우리나라 광복과 관련된 여러 회담 📚카이로 회담 (43') 🇺🇸🇨🇳🇬🇧 : 독립을 최초로 언급 📚얄타 회담 (45' 2.) 🇺🇸[소련] 🇬🇧 : 소련 in war 📚포츠담 선언 (회담) (45' 7.) : 우리나라 독립 약속 (확실시함) 광복 이후 여운형 —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결성 (조선 건국 동맹 기반) 송진우 등 — 민족주의 진영 표방하는 정당 조직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(45' 12.) 1️⃣임시정부 수립 2️⃣미·소 공동 위원회 3️⃣최고 5년간 신탁 통치 — 미, 영, 소 3국 외무 장관이 미, 영,..
본 포스팅은 비상 중학교 과학 3 교과서(임태훈 외)를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. ⚡️에너지: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역학적 에너지 = 위치 에너지 + 운동 에너지 역학적 에너지 전환: 물체가 운동할 때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는 서로 전환될 수 있음! 📚위치 에너지 구하는 공식 $E=9.8mh$ (m: 질량, h: 물체의 높이) 📚운동 에너지 구하는 공식 $E=\frac{1}{2}mv^2$ 역학적 에너지 보존: 공기저항&마찰 없을 때 운동하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!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될 때, 물체의 위치 에너지가 감소한 만큼 운동 에너지가 증가한다. (반대 포함)
정삼각형 높이 공식 한 변의 길이를 a로 두었을 때, $h=\frac{\sqrt{3}}{2}a$ 정삼각형 넓이 공식 $S= \frac{\sqrt{3}}{4}a^2$
구의 부피 $\frac{4}{3}\pi r^3$ 구의 겉넓이 $4\pi r^2$ Steven Baltakatei Sandoval, CC BY-SA 4.0, via Wikimedia Commons
본 포스팅은 쎈닷컴 김재은 선생님의 수학II 강좌를 바탕으로 작성했음을 밝힙니다. 방정식에의 활용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 1️⃣ $f(x)=0$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$f(x)=0$의 실근 → $\begin{cases}y=f(x)\\y=0\end{cases}$의 교점의 x좌표 → $y=f(x)$의 x절편 ⭐️ $y=f(x)$의 x절편의 개수 ($f(x)$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) 2️⃣ $f(x)=g(x)$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$f(x)=g(x)$의 실근 → $\begin{cases}y=f(x)\\y=g(x)\end{cases}$의 교점의 x좌표 → $\begin{cases}y=f(x)-g(x)\\y=0\end{cases}$의 교점의 x좌표 → $y=f(x)-g(x)$의 x절편 삼차방정식의..
본 포스팅은 비상 중학교 과학 3 교과서(임태훈 외)를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. 세포 분열이 필요한 까닭 - 몸집이 커지는 이유: 세포 크기가 커져서가 아닌, 세포 수가 늘어난 결과 - 세포 분열: 세포 한 개가 두 개로 나누어지는 것 - 물질 교환은 세포 표면을 통해 이루어짐 - 세포가 커짐: 표면적이 커지는 비율 < 부피가 커지는 비율 ∴ 물질 교환에 불리 - $\frac{표면적}{부피}$가 커야 물질 교환에 유리 ∴ 세포는 어느 정도 커지면 분열하여 그 수를 늘림 체세포 분열 분열 중인 세포에서는 핵이 사라짐 → 유전 물질이 꼬이고 뭉쳐서 만들어진 염색체 나타남 (막대 모양) 염색체는 두 개의 가닥으로 나뉨 (각각의 가닥: 염색 분체) DNA: 염색체를 구성하는 유전 물질 DNA에 담긴 생물에 특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