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an 그래프의 점근선
삼각함수인 탄젠트 그래프의 점근선의 꼴은 다음과 같다. (암기!): $y=tan$(식) 일 때 여기서 (식)에 들어갈 부분(점근선)은 $n\pi +\frac{\pi}{2}$
- 🏫 Study/Math
- · 2021. 8. 13.
함수의 극한 (2) 편 함수의 극한 (2) - 우극한과 좌극한 함수의 극한 (1)편 함수의 극한 (1) - 함수의 수렴과 발산 함수의 수렴과 발산 함수 $f(x)$에서 $x$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($x\rightarrow a$) $f(x)$의 값이 일정한 값 L에 한없이 가 blog.scian.io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⭐️⭐️⭐️⭐️ 극한값 $\lim_{x \rightarrow a}f(x)$, $\lim_{x \rightarrow a}g(x)$가 존재할 때, ⭐️⭐️⭐️⭐️ 사칙 연산이 가능! * 전제가 중요!! [1] $\lim_{x \rightarrow a}cf(x)=c\lim_{x \rightarrow a}f(x)$ [2] $\lim_{x \rightarrow a}\{..
함수의 극한 (1)편 함수의 극한 (1) - 함수의 수렴과 발산 함수의 수렴과 발산 함수 $f(x)$에서 $x$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($x\rightarrow a$) $f(x)$의 값이 일정한 값 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$f(x)$는 L에 수렴한다. ('모이다'라는 뜻) blog.scian.io 우극한과 좌극한 우극한: x의 값이 a보다 크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짐 (x가 a보다 큰 방향에서 옴) $x\rightarrow a+$ 좌극한: x의 값이 a보다 작으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짐 (x가 a보다 작은 방향에서 옴) $x\rightarrow a-$ $\lim_{x \rightarrow a+}f(x)=L$ (우극한) $\lim_{x \rightarrow a-}f(x)=L$ ..
함수의 수렴과 발산 함수 $f(x)$에서 $x$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($x\rightarrow a$) $f(x)$의 값이 일정한 값 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$f(x)$는 L에 수렴한다. ('모이다'라는 뜻) 여기서 L을 함수 $f(x)$에서의 극한값 or 극한이라고 함. 표현하는 방법: $x\rightarrow a$일 때 $f(x)\rightarrow L$ 기호로 나타내기: $\lim_{x \rightarrow a}f(x)=L$ (x가 a로 다가갈 때 f(x)는 L로 다가간다.) 발산: 수렴하지 않는 모든 경우 (함수 $f(x)$가 어느 값으로도 수렴하지 않으면 함수 $f(x)$는 발산한다고 한다.) 함수 $f(x)$에서 x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, ..
삼각함수인 탄젠트 그래프의 점근선의 꼴은 다음과 같다. (암기!): $y=tan$(식) 일 때 여기서 (식)에 들어갈 부분(점근선)은 $n\pi +\frac{\pi}{2}$
$a_{n+1}=pa_n+q$ 꼴의 수열 (pq형 점화식(관계식)) * 관계식이 잘 안보임 [변형 방법 외우기] $a_{n+1}-\alpha =p(a_n-\alpha )$ $a_{n+1} =p(a_n-p\alpha +\alpha)$ ▶ $q=-p\alpha +\alpha $ $\alpha=p\alpha +q$ ($a_{n+1}=pa_n+q$ 꼴과 비슷) 도움이 될만한 자료 https://m.blog.naver.com/ao9364/221651296608 수열의 점화식의 기초 해법과 특성방정식 이해하기 들어가기... 점화식을 직접 풀어내는 방법은 사실 교육과정에서 빠진지 좀 오래되었죠... 물론 고등학교 모... blog.naver.com 분수 꼴의 관계식 : 역수 취해서(뒤집어서) 계산 후 $\frac{1..
수열의 귀납적 정의 : 일반적으로 수열 {$a_n$}을 처음 몇 개의 항과 이웃하는 여러 항 사이의 관계식으로 정의하는 것 등차수열의 귀납적 정의 [1] $a_{n+1}=a_n+d$ $\Leftrightarrow a_{n+1}-a_n=d$ (일정) (이항) $\Leftrightarrow 2a_{n+1}=a_n+a_{n+2}$ (등차중항의 성질 이용) [2] $a_{n+1}=a_n+f(n)$ → $a_n=a_1+f(1)+f(2)+...+f(n-1)$ (축차대입법 이용) → $a_n=a_1+\sum_{k=1}^{n-1}f(k)$ (외워두면 정말 편리?) 등비수열의 귀납적 정의 [1] $a_{n+1}=r\times a_n$ $\Leftrightarrow \frac{a_{n+1}}{a_n}=r$ (일정) $\L..